한국주식만 10년 넘게 투자를 해왔다. 이유는 간단하다. 주식자체의 위험도 있는 상황에서 환율의 위험까지 감당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또한 해외 주식 투자 수수료는 몇 년전만 하더라도 상당히 많아서 일반인이 다가가기가 어려웠던 것도 사실이다.
단타나 데이트레이딩 위주의 투자는 자산을 불려주긴했지만 극히 미미했고, 단순히 이자 수익률을 넘기위해서 투자해야 했던 시간과 노력은 이익에 비해 과도하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새로운 투자 방식을 고민했고, 실험도 해보았다.
대표적으로 ELS 가 있다. ELS는 중수익, 중위험 상품으로 신중히 고르기만 한다면 꾸준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상품이었다. 요새처럼 ELS를 인터넷으로 쉽게 접할 수 있는 시대에는 한 번쯤 투자할 만하다.
하지만, 언제나 번거로움은 도사리고 있었다. 때맞추어 청약도 해야하고, 간혹 경쟁률이 올라가면 내가 원하는 만큼은 불가능하기도 하다. 게다가 가장 치명적인 부분은 현금화가 매우 느리다는 점이었다.
ELS는 만기나 혹은 상환조건이 완성될 때까지 내 돈이 완전히 묶여있어야 했고, 시장상황이 안좋아질때 내가 해볼 수 있는 일이 없었다. 남의 손에 내 투자를 맡기는 일을 이제는 끊어야 했다.
그러다가 알게된 게 미국 배당주 투자이다.
처음에 이야기했던 수수료 문제는 이제는 사실상 많이 해결이 된 상태다. 최소수수료라는 부분도 사라졌고, 마음만 먹으면 소수점 단위로도 주식을 살 수 있게 되었으니 금액에 따른 문제는 해결이 되었다.
두번째 문제라고 할 수있는 환율. 사실 거꾸로 생각해보면 환율은 충격완화 쿠션이 된다. 세계경기가 안좋아서 우리나라 달러 환율이 오르면 미국 주식 가격이 떨어진다. 또 세계 경기가 호황이어서 우리나라 달러 환율이 떨어지면 그때는 미국 주식이 오른다. 결국 어떻게하든 미국 주식 가격과 환율이 어느정도 상계처리가 된다. 그래서 우리는 미국 주식 투자에 나서야 한다. 그것도 미국배당주에 말이다.
왜 미국 배당주인가? 바로 우리나라와는 차원이 다른 배당시스템 때문이다.
미국에서는 배당을 50년이상 늘리면 배당킹(Dividend King)이라고 말한다. 즉, 우리나라처럼 배당을 늘렸다가 줄였다가, 줬다가 안줬다가 하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늘려나가는 주식을 말한다. 만약, 주식 초보자라면 이런 배당킹부터 알아보는 것이 안전하고 든든할 것이다.
미국 배당킹 리스트를 보면 3M, 코카콜라 등 눈에 띄는 종목들이 있다. 최대 64년간 배당을 늘려온 기업이 있다. 우리나라가 한국전쟁으로 난리통일때도 배당을 한 기업들이다. 다만 배당율(Dividend Yield)가 낮아 보인다. 이유는 간단하다. 계속 기업가치가 늘어나서 배당도 오르고 그에 맞춰 주가도 오른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상한 증권가 찌라시로 종목을 고르지 말고 이런 배당킹에서 종목을 선택하는 것이 마음편한 투자의 지름길이다.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하게 부자되는 법-평범한 월급쟁이도 부자가 될 수 있다(?) (0) | 2019.06.03 |
---|---|
2019년 5월 31일 배당이 들어왔다 (0) | 2019.06.02 |
2019년 5월 배당들어왔다 (0) | 2019.05.14 |
ELS 상환완료 (0) | 2019.03.19 |
[1회]삼성증권ELS 20365회(6.24%,낙인43)청약 (0) | 2018.11.29 |